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5년04월21일mon
 
티커뉴스
뉴스홈 > 뉴스 > 여행.관광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오전 5시30분 첫차…요금 성인 1250원으로 기존 지하철과 동일,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등록날짜 [ 2017년08월30일 15시27분 ]


[아유경제=지선화 기자] 서울 동대문구ㆍ성북구ㆍ강북구 등 동북권을 관통하는 연둣빛의 길이 28m 미니 지하철, 국내 최초 전 구간 지하에 건설된 `우이신설선`이 오는 9월 2일부터 문화예술을 싣고 달린다.

서울시는 차량기지를 포함한 전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는 자동무인 철도이자, 전 역사에 상업 광고를 배제한 예술적 시도로 눈길을 모은다. 일명 `문화철도 프로젝트`로, 지하철 내부를 비롯해 역사 플랫폼 곳곳에 다양한 예술작품을 설치하고 전시ㆍ공연을 유치한다. 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문화예술단체에도 개방해 지하철을 문화예술 전파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문화철도 프로젝트`는 런던, 스톡홀름, 뮌헨 등 유럽의 지하철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문화 트렌드인 `문화적 이동성(Cultural Mobilities)`을 실현하는 프로젝트다. 지하철의 일차적인 목적인 이동수단에서 벗어나 열차 내부와 정거장 곳곳을 문화예술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평소에 그저 스쳐 지나갔던 통로 벽면이나 바닥, 계단, 에스컬레이터 옆 벽면 등이 신진작가들의 작품이 걸리는 갤러리가 됐다. 일부 열차는 특정 테마로 랩핑한 `달리는` 시리즈로 운영되며, 그 첫 주제인 `달리는 미술관`의 첫 번째 작품은 발달장애를 넘어 개성 있는 작품을 선보이는 2인의 작가(정도운, 정은혜)가 참여한다.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우이동~동대문구 신설동을 총 13개 정거장(11.4Km)으로 연결한다. 요금은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현재 지하철과 동일(성인 1250원, 청소년 720원, 어린이 450원)하다. 3개 정거장(성신여대입구, 보문, 신설동)은 기존 지하철 1ㆍ2ㆍ4ㆍ6호선과 환승 가능하며,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를 적용받는다.

사실상 버스뿐이었던 대중교통체계가 대폭 개선되면서 우이~신설 간 통행시간도 출퇴근시간대 기준으로 30분가량(50분대→20분대)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도시철도 소외지역이었던 서울 강북 지역의 교통사각지대를 해소해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오는 9월2일 북한산우이역에서 오전 5시30분 출발하는 첫 차를 시작으로 우이신설선을 본격 운행한다고 밝혔다. 정식 개통식은 같은 날 오전 10시 강북구 우이동 종합관리동에서 박원순 시장과 박겸수 강북구청장, 김영배 성북구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포스코건설을 주간사로 두산건설㈜, 고려개발, ㈜대우건설 등 10개사가 출자한 우이신설경전철㈜이 건설 후 소유권을 시에 이관하고 30년간 무상으로 사용하는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총 투자비 8882억 원이다.

이에 따르면 정거장 13개소와 종합관리동(연면적 8156.55㎡, 지하2층~지상3층) 1개소가 건설됐으며, 종합관리동은 차량기지(지하)와 무인 도시철도 관제를 위한 종합관제센터(3층) 등으로 구성된다. 종합관리동과 기능동을 제외한 모든 시설은 지하에 건설돼서 외부에서는 전혀 전동차가 보이지 않는다. 특히, 차량기지의 경우 그린벨트 지역인 북한산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지하에 건설됐다고 한다.

또 노선 고유색은 연두색으로 정했다. 시는 `우이신설선`이 북한산 둘레길과 덕성여대 같은 대학가를 연결하고 있는 만큼 생동감 넘치는 자연과 대학가의 이미지를 담아 연두색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우이신설선은 모든 전동차가 무인으로 운행되는 만큼 운행 초기 전 역사와 열차 내에 29일 동안 하루에 95명씩 총 2755명의 인력을 추가 투입해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나간다.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승객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우이신설선은 기관사실이 따로 없어 승객들은 전동차 정면과 후면에서 터널 내부를 훤하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했으며, 총 403대 CCTV도 객실 및 정거장 내부 등에 설치하고 종합관제실에서 24시간 모니터링한다. 13개 전 역사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됐다.

교통약자들의 이동편의성도 높였다. 객실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나 유모차 동반 승객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객실 사이에 문과 턱이 없는 `일체통로형`으로 만들어졌다. 이밖에도 교통약자 전용게이트 총 46대, 음성유도기 총 178대, 내ㆍ외부 엘리베이터 총 52대도 설치됐다.

`문화철도 프로젝트`는 무분별한 상업 광고 없는 `문화예술 전용공간`, 역사에서 고품격 예술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아트스테이션`, 열차에 테마를 입힌 `달리는` 시리즈 등으로 요약된다.

우이신설선 전 13개 역사는 기존 지하철역과 달리 문화예술 전용공간으로 조성된다. 특히 광고의 경우 개성 없는 사각형의 광고판 대신 미술관 전시장처럼 레일을 설치해 작품이나 광고 포스터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트스테이션(Art Station)`은 6개 역(북한산우이, 솔샘, 정릉, 보문, 성신여대입구, 신설동)에 조성된다. 통로 옆 벽면이나 바닥, 계단ㆍ에스컬레이터 옆 벽면 등 평소에는 스쳐지나갔던 공간이 갤러리로 변신한다.

또한 '달리는' 시리즈는 열차 내부를 도서관, 영화관, 미술관 같이 테마별로 랩핑해 운행하는 방식이다. 우선, 개통과 함께 열차 2편이 각각 '달리는 미술관'과 '달리는 도서관'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한편 우이신설선은 2량 1편성(총 32량 16편성)으로 운행된다. 운행 간격은 출퇴근 시간대는 3분, 그 외 시간대는 4분~12분 간격으로 운행하며(총 운행횟수 평일 516회, 토ㆍ일요일 및 공휴일 424회) 정차 시간은 일반역은 30초, 환승역은 40초다. 오전 5시30분부터 평일은 익일 1시, 휴일은 24시까지 운행한다.

박원순 시장은 "우이신설선은 단순한 교통수단으로서의 지하철에서 나아가 문화시설이 부족한 동북권 주민들을 위한 문화예술 지하철이 될 것"이라며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대한 철도 서비스 확대를 위해 신림선 도시철도, 동북선 도시철도, 지하철 9호선 3단계, 5호선 연장(하남선), 8호선 연장(별내선) 등 도시철도망 구축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올려 0 내려 0
지선화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한전, 중소기업 통 크게 지원한다! (2017-08-31 11:32:50)
예술위, 마로니에전국여성백일장 오는 9월 21일 ‘개최’ (2017-08-30 15:25:59)
제천 ‘오늘도 내일도 고기로!...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온라인 슈즈백화점 ‘슈백’,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탑재된 타...
사회연대은행-생명보험사회공헌...
월드투게더, 현대건설·캠프와 ...
양수경 CF flash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