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모드 | 로그인 | 회원가입
2025년11월09일sun
 
티커뉴스
뉴스홈 > 뉴스 > 여행.관광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등록날짜 [ 2017년11월23일 14시00분 ]


[아유경제=박소희 기자] 새 정부는 그동안 부동산시장의 안정화를 꿈꾸면서 6ㆍ19 부동산 대책을 시작으로 8ㆍ2 대책, 10ㆍ24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의 바람과는 달리 최근 부동산 시장은 수요자들의 심리적 부담감이 커진 것과 동시에 다주택자들은 설자리를 잃어가고 거래절벽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 부동산시장의 상황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대출`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다주택자들이 집을 내놓아도 대출에 대한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매매하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발표된 10ㆍ24 가계부채 종합대책의 경우 `신(新) DTI`와 `DSR`의 도입으로 인해 대출규제가 강화됐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원리금, 기존에 받았던 주택대출의 이자상환액은 물론 여기에 기존 받았던 주택대출의 원금까지 포함해 대출액을 산정 받게 된 것이다.

또한 `DSR`의 도입으로 마이너스 통장,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금을 파악해 대출액을 산정하게 되며 대출자의 장래 예상 소득 등 빚을 갚을 능력이 있는지 까지 심사하게 된다.

더불어 8ㆍ2 대책으로 인해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 등으로 선정된 지역의 경우는 대출 받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러한 부동산 정책이 오히려 수요자들의 심리를 위축시켜 주택매매에 머뭇거리는 상황을 만들고 이에 따른 거래절벽 현상을 야기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정말로 내 집 마련은 이제 더 이상 꿈꿀 수 없는 것일까?

한 전문가는 내 집 마련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꾸준한 모니터링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래야만 정확한 내 집 마련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전세가가 오르는 지역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는 곳이다.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닐 경우 해당 지역의 수요자들은 매매가 아닌 전세를 많이 택할 것이고 그렇다보면 전세가격 역시 상승할 것이다"며 "이에 따라 전세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매매가격과의 차이가 적은 지역은 매매가격이 함께 상승할 수밖에 없다"고 전세가가 상승하는 곳을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5억 미만의 물건에 대해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뿐만 아니라 그동안 물건이 많지 않았던 공매시장에도 주택 물건이 유입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공매에 대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내년 4월 쯤 중과세를 피하기 위해 많은 매물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지역에 매물이 쌓이다 보면 급매 역시 나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급매를 노리는 전략을 짜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귀띔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올려 0 내려 0
박소희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 부활 한 달 여앞으로… 사업 추진따라 희비 엇갈린 강남 재건축 (2017-11-23 14:31:25)
안희정 충남지사, 정부예산확보에 ‘총력전’ (2017-11-23 11:06:45)
제천 ‘오늘도 내일도 고기로!...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제천시, ‘2023 제천 명동 고기...
온라인 슈즈백화점 ‘슈백’,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탑재된 타...
사회연대은행-생명보험사회공헌...
월드투게더, 현대건설·캠프와 ...
양수경 CF flash
현재접속자